번역표현/(펌/ 편집) 바른 우리말

호칭에 관한 퀴즈

잔인한 詩 2010. 8. 27. 08:58
반응형
부름말(호칭)·가리킴말(지칭)에 대한 퀴즈 


사람살이는 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가족 관계부터 친구 관계, 선후배 관계, 기타 사회 여러 사람들과의 관계. 그래서 부름말과 가리킴말이 중요하다. 여기서 이런 말과 이와 관련된 말들을 폭넓게 살펴보는 특집을 마련했다. 학생들과 직접 관련이 없는 것도 실었다. 그 이유는 자신이 현재 쓰지 않는 것이라 할지라도 근처에서 보고 듣는 것이기도 하고 또 앞으로 쓰게 될 말이기 때문이다. 

< 구분 > 낮: 낮은 수준, 초등학생 수준 높: 높은 수준, 중고등학생 이상 공: 두루두루 적용 

[물음] 
공1. 아내 남동생을 부르는 말? 
공10* 고종은 누구를 가리키나? 
공11* 나이가 어린 손위 올케를 어떻게 불러야 하나? 
공12* 남녀가 결혼을 하게끔 중매를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은? 
공13* 누나가 남동생의 아내를 부르는 말은? 
공14* 누나의 남편을 가르키는 말 세가지? 
공15* 누이의 손자를 가리키는 말로 '넛-'으로 시작되는 말은? 
공16* 당숙은 나와 몇 촌인가? 
공17* 당숙의 아들은 나와 몇 촌인가? 
공18* 당질은 ? 
공19* 동생 직장에 전화를 걸어 동생을 바꿔 달라고 할 경우 이름에 씨를 붙이는 것이 옳은가 안 붙이는 것이 옳은가? 
공2* 아내 여동생의 남편 ? 
공20* 맨 위 조상으로부터 밑의 자손으로 따져 내려오는 단위는 무엇인가? 
공21* 배다른 형제(이복형제)를 순우리말로 일컫는 말은? 
공22* 부모와 같은 항렬의 여자나 한 항렬에 있는 남자의 아내를 일컬었던 말은? 
공23* 부부(夫婦)의 순우리말은? 
공24* 살아계신 자기의 부모를 부르거나 남에게 이야기할 때 '님'자를 붙일 수 있나? 
공25* 설날 때 자신(남자)보다 나이가 많은 이모의 아들을 만났다. 뭐라고 불러야 하나? 
공26* 스승의 남편에 대한 부름말은? 
공27* 시누이와 시동생이 두 살, 세 살밖에 되지 않았다. 어떻게 불러야 하나? 
공28* 시집간 고모가 죽고 그 고모부가 다시 장가든 여자를 가리키는 말은? 
공29* 시집간 누이가 죽고 그 매부가 다시 장가든 여자를 가리키는 말은? 
공3* 엄마의 남자 형제의 부인은? 
공30* 시집간 딸이 죽고 그 사위가 다시 장가 든 여자를 가리키는 말은? 
공31* 아내 언니의 남편 ? 
공32* 아내 오빠를 부르는 말은? 
공33* 아내 쪽의 친척을 이르는 말은? 
공34* 아내의 언니를 가르키는 말은 ? 
공35* 아내의 여동생을 가르키는 말은 ? 
공36* 아들 많은 집의 외딸은? 
공37* 아들이 결혼을 했지만 아직 아이를 낳지 않았을 경우에 아들고 며느리를 어떻게 불러야 하나? 
공38*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남자를 이르는 말은? 
공39* 아버지와 나는 몇 촌인가? 
공4* 자신보다 훨씬 나이 많으신 분에게 길을 물을 때 적절한 부름말은? 
공40* 아버지의 남자 형제를 가리키는 말은 ? 
공41* 아버지의 사촌 누이를 가르키는 말은? 
공42* 아버지의 사촌 형제를 가르키는 말은? 
공43* 아버지의 아버지의 사촌누이는? 
공44* 아버지의 아버지의 할아버지는? 
공45* 아버지의 외삼촌을 가리키는 순위리말은? 
공46* 아버지의 외숙모를 가리키는 순우리말은? 
공47* 아버지의 장모를 부르는 말? 
공48* 아버지의 할아버지는? 
공49* 아버지의 형님이 둘일 경우 각각 어떻게 불러야 하나? 
공5* (남자의 경우) 형의 아내를 부르는 말은? 
공50* 아버지쪽의 친척을 가리키는 말은? 
공51* 어머니쪽의 친척을 가리키는 말은 ? 
공52* 언니의 남편은? 
공53* 여동생의 남편을 부르는 말은? 
공54* 여자가 같은 항렬의 손위 남자를 이르는 말은? 
공55* 여자의 남자 형제들을 두루 일컫는 말은? 
공56* 옛날에 국가에 대해 큰 죄를 저질렀을 때 삼족을 멸했다고 한다. 이 때의 삼족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공57* 외삼촌의 아들이 방학을 맞이해 놀러왔다. 뭐라고 불러야 하나? 
공58* 외할머니의 외동딸은 ? 
공59* 우리는 친인척의 관계를 따질 때 촌수를 따진다. 1촌의 기준은 무엇인가? 
공6* (남자의 경우) 남동생의 아내를 부르는 말은? 
공60* 웃어른들이 서로 소개할 때 쓰는 말 가운데 '저는 박가(朴哥)올습니다' 또는 '저는 박가올시다'라고 한다. 어느 쪽이 옳은가? 
공61* 원래 형이라는 말과 같은 뜻으로 쓰던 말은? 
공62* 장모의 순우리말은? 
공63* 장인의 순우리말은? 
공64* 재종간은 몇 촌인가? 
공65* 조상 제사를 지낼 때 4대 봉사를 한다고 한다. 4대의 범위는 무엇인가? 
공66* 질부의 토박이말은 ? 
공67* 질서는 누구를 가르키는가? 
공68* 친족 집단내에서의 계보상의 종적인 세대 관계를 나타내는 말은? 
공69* 친족은 아버지 쪽의 친척이다. 그러면 어머니 쪽의 친척은? 
공7* "이 사람 좀 보게나. 쌈은 말리구 흥정은 붙이랬다던데 쌈을 붙이구 있잖나. 때리는 시어미보다 말리는 시누이(시뉘)가 밉다더니 - 이무영, 삼년"에서 '시누이'는 누구를 가리키나? 
공70* 팔촌 형제 사이를 무엇이라 일컫는 가? 
공71* 한가위 때 아빠 여동생의 남편을 만났다. 뭐라고 불러야 하나? 
공72* 할아버지 형제분을 통틀어 일컫는 말은? 
공73* 할아버지의 동생을 부르는 말은? 
공74* 현재 자손으로부터 조상으로 올라가면서 세는 단위는 무엇인가 ? 
공75* 현재 자손으로부터 조상으로, 즉 위로 올라가며 따지는 단위가 대이다. 그러면 세는 어떻게 따지는 것인가? 
공76* 형수나 올케의 부모룰 부르는 말은? 
공77* 형제 자매간에 우애하는 정을 일컫는 네음절의 순우리말은? 
공78* 형제간은 몇 촌인가? 
공79* 혼인한 두 집의 부모끼리 서로 부르는 말은? 
공8* '며느리 사랑은 시아버지'라는 말이 있다. 이 때 시아버지는 며느리 입장에서 남편의 아버지를 가리키는 지칭어이다. 그럼 호칭은 무엇인가? 
공80*시동생이 혼인하기 전에 부르고 가리키는 말은? 
공81*시동생이 혼인한 후에 부르고 가리키는 말은? 
공9* 가깝지 않은 친척을 가리키는 순우리말은? 
낮1* 61세를 기리는 말로는 환갑, 회갑, 화갑 등이 있다. 60세를 일컫는 말은? 
낮10* 외할머니의 아들은? 
낮11* 할아버지 외아들의 외아들은? 
낮12* 할아버지의 딸은? 
낮13* 할아버지의 외아들은? 
낮2* 백부, 숙부의 순우리말은? 
낮3* 아버지 남동생의 아내를 가르키는 말은? 
낮4* 아버지의 결혼한 남동생을 가리키거나 부르는 말은? 
낮5* 아버지의 아버지는? 
낮6* 아버지의 여자 형제는? 
낮7* 엄마의 남자 형제는? 
낮8* 엄마의 언니 남동생은? 
낮9* 오빠의 아내를 부르는 말은? 
높1* 62세를 일컫는 말은? 
높2* (여자인 경우) 여동생의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많으면 그 여동생의 남편을 '0서방'이라 부를 수 있는가? 
높3* 70세를 보통 칠순(七旬)이라 한다. 같은 뜻의 다른 말은? 
높4* 99세는 백수(白壽)라고 한다. 88세는 무엇이라고 하나? 
높5* 결혼한 손아래 시누이를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높6* 군대를 갔다. 김병장이 김상병 어디 갔느냐고 물었을 경우 김상병 다음에 님자를 붙여도 되나? 
높7* 남편의 누나 남편은 무엇이라 부르나? 
높8* 남편의 남동생을 부르는말은? 
높9* 남편의 남동생의 아내? 
높10* 남편의 누나를 부르는 말은? 
높11* 남편의 여동생을 부르는 말은? 
높12* 남편의 첩을 본처가 일컫는 말은? 
높13* 남편의 형님을 부르는 말은? 
높14* 누이 동생이 형님이라 늘 부르던 나의 선배와 결혼하면 무엇이라 불러야 하나? 
높15* 삼촌이 조카와 조카며느리를 어떻게 불러야 하나? 
높16* 손위 처남의 아내와 손위 처남의 아내에 대한 부름말과 가리킴말은? 
높17* 아들 넷의 막내 며느리일 경우 큰 조카가 나보다 나이가 많으면 어떻게 불러야 하나? 답높17:조카님이라 부른다. 
높18* 외동딸과 고명딸의 차이는? 
높19* 웃어른 앞에서 자기 아내와 자기 남편을 낮추어 부르는 말은? 
높20* 유부남, 유부녀를 순우리말로 일컫는 말은? 
높21* 장인, 장모를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부를 수 있나? 
높22* 직장 동료가 결혼안한 여자일 경우 '미스 00'이라 부를 수 있나? 
높23* 직장 상사를 부를 때 직함 뒤에 님자를 붙여야 하는가? 
높24* 친구 배우자에 대한 부름말과 가리킴말은? 
높25* 희수(喜壽)는 몇 살을 가리키는 말인가? 
높26*결혼한 나는 30세이고 남편은 35세. 그리고 그 밑의 동서의 나이는 32세이다. 나와 손아래 동서와는 서로 어떻게 불러야 하나? 
높27*시동생의 나이가 마흔 하나로 아직 결혼을 하지 않았다. 그런 경우 '도련님'이라 부를 수 있ㅇ나? 
높28*여자 조카의 남편을 부르는 말은? 

[답과 해설] 

공1. 답:처남 해설: 아주 나이가 어리면 이름을 부를 수도 있다. 
공2:동서, 0서방 
공3:외숙모 
공4: 상대방이 남자라면 어르신, 어르신네, 선생님이라고 부르고 여자일 경우는 어르신, 어르신네, 할머니, 할머님, 아주머니, 아주머님 등으로 부르면 된다. 
공5:형수님 또는 아주머님, 아주머니 해설: 보통은 형수님이라고 한다. 물론 웃사람에게 말할 때는 형수라고 해야 한다. 
공6:제수씨 또는 계수씨라고 부른다. 
공7: 남편의 누이 
공8:아버님이라고 부른다. 해설: 아버지는 꼭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통적으로 경칭인 아버님을 써 왔다. 그러나 시어머니의 경우는 어머님, 어머니 모두 써왔다. 시아버지는 아버지를 허용하지 않으면서 시어머니의 경우 어머니를 허용하는 것은 우니나라의 가부장 제도의 영향 때문이다. 
공9:길카리 
공10:고모의 자식 
공11:언니 또는 새언니로 불러야 한다. 해설: 나이가 어리다고 거북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언니, 새언니'라고 부르는 것은 오빠를 대우하는 것이 것이므로 그렇게 불러야 한다. 
공12:중매쟁이 해설:중매장이는 비표준어임. '쟁이'는 '장이'와 같은 뜻의 접미사로 그 구별이 조금 복잡하다. 표준어 규정에서 기술자란 뜻으로는 장이를 붙인다고 했다. 곧 미장이(건축 공사 등에서 흙을 바르는 사람), 땜장이가 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멋쟁이, 소금쟁이, 발목쟁이, 갓쟁이(갓을 멋들어지게 쓰는 사람)' 등과 같이 '쟁이'를 붙인다. 
공13:올케 해설:흔히 00엄마라고 부르는데 이는 잘못된 호칭이다. 
공14:매형, 자형, 매부 
공15:넛손자 
공16:5촌 
공17:6촌 해설:당숙이 5촌이므로 그 아들은 6촌이다. 
공18:사촌형제의 아들 
공19:붙이는 것이 옳다. 해설: 김순돌씨 좀 바꿔 주시겠습니까?와 같이 한다. 직함을 널 경우는 '씨'를 안 넣어도 좋다. 곧 김(순돌)과장 좀 바꿔 주시겠습니까?와 같이 한다. 님자를 붙여도 좋다. 김순돌님, 김순돌과장님 
공20:세. 해설:맨 위 조상의 자식이 2세, 손자가 3세가 된다. 
공21: 줄무더기 형제 
공22:아주머니(아줌마) 해설: 지금은 여자 어른을 두루 일컫는 말이다. 
공23: 가시버시 
공24:붙이지 않는 것이 좋다. 해설:전통적으로 살아계신 자기 부모를 일컬을 때는 '님'자를 붙이지 않는다. 곧 아버지, 어머니라고 하면 된다. 다만 돌아가셨을 경우 "우리 아버님이 살아 계셨을 때"와 같이 붙이는 것이 관례다. 또한 글을 쓸 때도 쓴다. 
공25:형 또는 이종 사촌 형, 등으로 부르면 된다. 해설: 지칭어는 물론 이종 사촌이다. 그러나 부를 때는 보통 형이라 부르면 된다. 
공26:사부님, 선생님, 0선생님, 000선생님 등으로 부르면 된다. 
공27:시누이는 아가씨, 아기씨, 시동생은 도련님이다. 해설:시동생, 시누이를 부르는 말은 나이와 관계가 없다. 
공28:옴고모 
공29:옴누이 
공30:옴딸 
공31:형님, 동서(나이가 나보다 어릴때) 
공32:처남 또는 형님. 단 나이가 자신보다 어리면 처남이라 부른다. 
공33:인척 해설:곧 혼인관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천척을 이르는 말이다. 
공34:처형 
공35:처제 
공36:고명딸 
공37: 아들은 이름을 부르면 되고 며느리는 '아가, 새아가' 등을 쓴다. 아이를 낳으면 '아비, 아범, 어미, 어멈'과 같이 부르거나 애 이름을 넣어 '00아비, 00아범, 00어미, 00어멈'과 같이 부른다. 
공38:아저씨. 해설:요즘은 남자 어른을두루두루 아저씨라 한다. 
공39:1촌 
공40:삼촌, 해설:삼춘은 비표준어 
공41:당고모 
공42:당숙 
공43:대고모, 왕고모 
공44:고조할아버지 
공45:넛할아버지 
공46: 넛할머니 
공47:외할머니 
공48;증조할아버지 
공49:모두 큰아버지라고 부르거나 아니면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라고 하면 된다. 아니면 살고 계신 지명을 붙여 수원 큰아버지, 오산 큰아버지처럼 부르면 된다. 
공50:친족 
공51:외척 
공52: 형부 
공53: 0서방 
공54:오라버니 해설:오라비는 여자의 남자 형제들을 두루 일컫는 말이다. 요즘은 이렇게 구별하지 않고 두루 오빠라고 한다. 
공55:오라비 해설:오라버니는 여자가 같은 항렬 손위 남자를 이르는 말이다. 요즘은 이렇게 구별하지 않고 두루 오빠라고 한다. 
공56: 인척, 친족, 외척 
공57: 나이가 자신보다 적으면 이름을 부르면 되고 나이가 많으면 형 또는 오빠라 부르거나 외종사촌 또는 외사촌이라고 부른다. 
공58:엄마 
공59: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가 1촌이다. 
공60:박가올시다가 옳다. 해설:표준어 규정 17항에서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뜻 차이가 없고 그 중 하나가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정한다고 했다. 
공61:언니 해설:지금은 여자가 손위 자매를 일컫는 말이 되었다. 
공62:가시어미 
공63:가시아비 
공64:6촌 
공65: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 할아버지, 고조 할아버지까지를 말한다. 
공66:조카 며느리 
공67:조카 사위 
공68:항렬 
공69:외척 
공70:삼종간 
공71: 아빠 여동생이 고모이므로 고모부 또는 고무부님이라고 하면 된다. 
공72:종조부 
공73: 작은 할아버지, 종조할아버지라고 한다. 해설:한자어만으로는 종조부(從祖父)라고 한다. 종조부는 할아버지 동생뿐만 아니라 할아버지의 형을 가리키는말이기도 하다. 작은 할아버지가 여럿일 경우 첫째 작은할아버지, 둘째 작은 할아버지라고 하든가 살고 계신 지명을 붙여 부르면 된다. 
공74: 대 해설:대를 셀 때는 자신은 뺀다. 그러므로 아버지가 1대이고 할아버지가 2대가 된다. 
공75:조상에서부터 아래로 따진다. 
공76:사장어른 
공77:띠앗머리 해설:의초라는 토박이말도 동기간에 우애를 뜻한다. 
공78:2촌 
공79: 사돈 해설:사둔은 비표준어임. 사돈의 팔촌이란 말은 남이나 다름없는 먼 친척을 말한다. 사돈 남 나무란다라는 말은 자기도 같은 잘못이 있으면서, 제 잘못은 제쳐놓고 남의 잘못만 나무랄 경우 쓰는 속담이다. 
공80: 도련님 
공81:서방님 해설:시누이 남편을 손위, 손아래 구분하지 않고 '서방님'이라 부르기도 한다. 

낮1:육순(六旬) 
낮2:큰아버지, 작은아버지 
낮3:작은 어머니 또는 작은 엄마 해설:한자어로는 숙모(叔母)라고 한다. 
낮4: 작은 아버지 해설: 한자어로는 숙부라고 한다. 
낮5:할아버지 
낮6:고모 
낮7: 외삼촌 
낮8:외삼촌 
낮9: (새)언니 
낮10:외삼촌 
낮11:나 
낮12:고모 
낮13:아버지 

높1: 진갑(進甲) 
높2: 부를 수 있다. 높이고 싶으면 서방님처럼 님자를 붙이면 된다. 
높3: 고희(古稀) 해설:80살은 팔순(八旬)이고, 90살은 구순(九旬)이다. 
높4:미수(米壽) 
높5: 아가씨 또는 아기씨라 부른다. 해설:결혼 전이나 후나 같다. 
높6: 된다. 해설:역시 학교에서는 압존법이라하여 붙이지 말라고 하였으나 이는 일본 영향이다. 우리는 자기를 기준으로 높으면 누구든 높일 수 있다. 
높7:아주버님, 서방님 
높8:도련님 (결혼한 경우: 서방님) 
높9:동서 
높10:형님 
높11:아가씨 또는 아기씨라 부른다. 
높12:시앗 
높13:아주버님 해설:손위 시누이 남편에 대한 호칭, 지칭어도 된다. 
높14: 매부, 0서방이라 부르면 된다. 해설: 누이 동생의 남편은 과거 관계와 관계없이 매부, 0서방이라 부른다. 
높15:조카가 미성년일 경우는 이름을 부르고 성년이 되면 '조카'를 부름말로 쓴다. 아이를 낳았을 경우는 '00아비, 00아범'으로 부른다. 조카 며느리는 '아가, 새아가, 00어미, 00어멈'등으로 상황에 따라 부르면 된다. 한자어로 질부라 부르기도 한다. 
높16:손위 처남의 아내에 대한 부름말은 아주머니이고 손아래 처남 아내는 처남의 댁이 표준화법이다. 부를 때도 그렇게 부르면 된다. 
높18;외동딸- 무남독녀, 고명딸-아들 많은 집의 외딸 
높19:지어미, 지아비 
높20: 핫아비, 핫어미 해설:'핫-은 '홀-이라는 접두사에 대립되는 접두사로 '짝 있는'이라는 뜻이다. 곧 홀아비, 홀어미의 반대말이다.. 
높21: 부를 수 있다. 해설:전통적으로는 장인 어른, 장모님만을 주로 써 왔지만 최근 추세에 따라 아버님, 어머님도 표준 화법이 되었다. 그리고 장인 어른을 빙장 어른, 장모님을 빙모님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이는 적절하지 못하다. 이 말은 다른 사람의 처부모를 호칭할 때 쓰는 말이다. 
높22: 부를 수 없다. 해설: 미스라는 호칭은 여자에 대한 차별 의식이 담겨 있다. 그러므로 000씨, 000님, 또는 나이가 많으면 선배님, 또는 선생님 등으로 불러야 한다. 
높23: 붙인다. 해설: 부장보다는 부장님이 좋다. 부장 자체가 높이는 것이므로 님자를 붙이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그렇지 않다. 님자를 붙인다고 아부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단지 기본 예의이기 때문이다. 
높24:아주머니, 000씨, 00어머니, 부인, 0여사 등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쓰면 된다. 해설: 보통 장난 삼아 계수씨, 제수씨 등으로 부르나 이런 호칭은 옳지 않다. 이런 호칭은 가족 안에서 쓴다. 
높25:77살 
높26: '형님'이라 부르면 된다. 해설:남편의 형의 아내 곧 웃동서는 '형님'이라 부른다. 
높27: 부를 수 있다. 해설: 시동생이 혼인을 하지 않았어도 도련님이라 부른다. 결혼을 해야 서방님이라 부른다. 
높28: 00서방, 00아비, 00아범 해설:조카 사위의 부름말은 처부모가 사위를 부르는 말과 같다. 

출처 : http://www.hanmal.pe.kr/bbs/view.php?id=olh_eunmalsseum&page=2&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subject&desc=desc&no=9&PHPSESSID=487e7dd5151bca5fe8871f90d5050a35
반응형